
안녕하세요.
노아노마드입니다.
저번 시간에는 구글애널리틱스의 기본적인 개념과 간단한 UI만 살펴봤습니다.
설마 바로 전 포스팅인데 기억 안 난다고 하시진 않겠죠?!.
다시 공부하고 오려면
👇👇👇
https://blog.naver.com/noahnomady/222140814221
오늘은 보고서 구성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준비되셨나요!
고고~!
보고서 구성
1) 실시간 보고서

실시간 보고서는 말 그대로 현재 웹 사이트에 접속해 있는 방문자의 대략적인 정보를 보여주는 보고서입니다.
따라서 웹 사이트에 본인이 접속하여, 해당 보고서를 통해 현재 삽입된 추적 코드가 잘 작동되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스크립트가 잘 발동이 되는지 확인 후에는 '보기'단에서 개인 IP를 필터로 제거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2) 잠재고객 보고서

방문자의 인구통계, 행동, 특징 등과 같은 방문자 정보에 대하여 얻을 수 있는 보고서입니다.
예를 들어, 방문자가 몇 명인지? 성별은? 어떤 기기를 통해서 들어오는지? 거주지가 어디인지?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해당 정보들은 일전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듯이 쿠키 값을 기준으로 수집되는 Data입니다.
이러한 Data들은 관심사나 행동 등을 분석하여 Big Data를 기반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정확한 인구통계학적인 특징을 나타낼 순 없습니다.
3) 획득 보고서

방문자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 유입되었는지 파악하는 보고서입니다.
예로 이메일을 통해? 주소창 검색을 통해? 페이스북 리타겟광고를 통해?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의 소새/매체 복서는 기본 측정 기준으로 Raw Data의 측정항목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장 기본적인 값으로 정확한 유입 경로를 추적해내기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 정의를 통해
맞춤 획득 경로를 설정해 준다면 보다 정확한 유입 경로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4) 행동 보고서

행동 보고서는 방문자가 웹 사이트 내에서 어떤 행동을 했는지 파악하는 보고서입니다.
각 페이지 마다의 페이지뷰 수, 방문 수, 머문 평균 시간, 이벤트 발동 수 등과 페이지 로드 속도까지 알 수 있습니다.
5) 전환보고서

방문자가 웹 사이트 내에서 우리가 지정한 목표를 달성했는지 파악하는 보고서로 사이트 내에서 발생한 구매 활동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해당 복서를 통해 평균 주문 값, 전자상거래 전환율, 구매까지의 소요시간, 인기 전환 경로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맞춤 채널 설정

획득 보고서 내의 기본 채널은 앞서 말씀드렸듯이 정확한 획득 경로 측정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홈페이지 방문자 유입 경로에 알맞게 채널 유입 경로를 정의해야 합니다.

관리의 '보기' 단으로 이동하셔서 '채널 설정'을 눌러주신 후,
위 사진과 같이 복사한 뒤 기존의 [Default Channel Grouping] 채널 그룹을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채널 설정 시 중요한 점은 획득 유입이 많은 경로나 광고로 인한 유입 경로를 먼저 채널 유입 순위 상위로 놓아야 합니다.
그리고 광고캠페인 (직접 기여) → 각 소스 별 유입 경로 (간접 기여) → 유기적 유입 순서로 정의해주는 게 좋습니다.
GA에는 정말 다양한 기능이 있기 때문에
직접 만져보고 자주 들여다봐줘야 익숙해지실 거예요!
모두 화이팅입니다 :)
안녕하세요.
노아노마드입니다.
저번 시간에는 구글애널리틱스의 기본적인 개념과 간단한 UI만 살펴봤습니다.
설마 바로 전 포스팅인데 기억 안 난다고 하시진 않겠죠?!.
다시 공부하고 오려면
👇👇👇
https://blog.naver.com/noahnomady/222140814221
오늘은 보고서 구성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준비되셨나요!
고고~!
1) 실시간 보고서
실시간 보고서는 말 그대로 현재 웹 사이트에 접속해 있는 방문자의 대략적인 정보를 보여주는 보고서입니다.
따라서 웹 사이트에 본인이 접속하여, 해당 보고서를 통해 현재 삽입된 추적 코드가 잘 작동되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스크립트가 잘 발동이 되는지 확인 후에는 '보기'단에서 개인 IP를 필터로 제거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2) 잠재고객 보고서
방문자의 인구통계, 행동, 특징 등과 같은 방문자 정보에 대하여 얻을 수 있는 보고서입니다.
예를 들어, 방문자가 몇 명인지? 성별은? 어떤 기기를 통해서 들어오는지? 거주지가 어디인지?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해당 정보들은 일전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듯이 쿠키 값을 기준으로 수집되는 Data입니다.
이러한 Data들은 관심사나 행동 등을 분석하여 Big Data를 기반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정확한 인구통계학적인 특징을 나타낼 순 없습니다.
3) 획득 보고서
방문자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 유입되었는지 파악하는 보고서입니다.
예로 이메일을 통해? 주소창 검색을 통해? 페이스북 리타겟광고를 통해?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의 소새/매체 복서는 기본 측정 기준으로 Raw Data의 측정항목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장 기본적인 값으로 정확한 유입 경로를 추적해내기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 정의를 통해
맞춤 획득 경로를 설정해 준다면 보다 정확한 유입 경로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4) 행동 보고서
행동 보고서는 방문자가 웹 사이트 내에서 어떤 행동을 했는지 파악하는 보고서입니다.
각 페이지 마다의 페이지뷰 수, 방문 수, 머문 평균 시간, 이벤트 발동 수 등과 페이지 로드 속도까지 알 수 있습니다.
5) 전환보고서
방문자가 웹 사이트 내에서 우리가 지정한 목표를 달성했는지 파악하는 보고서로 사이트 내에서 발생한 구매 활동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해당 복서를 통해 평균 주문 값, 전자상거래 전환율, 구매까지의 소요시간, 인기 전환 경로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획득 보고서 내의 기본 채널은 앞서 말씀드렸듯이 정확한 획득 경로 측정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홈페이지 방문자 유입 경로에 알맞게 채널 유입 경로를 정의해야 합니다.
관리의 '보기' 단으로 이동하셔서 '채널 설정'을 눌러주신 후,
위 사진과 같이 복사한 뒤 기존의 [Default Channel Grouping] 채널 그룹을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채널 설정 시 중요한 점은 획득 유입이 많은 경로나 광고로 인한 유입 경로를 먼저 채널 유입 순위 상위로 놓아야 합니다.
그리고 광고캠페인 (직접 기여) → 각 소스 별 유입 경로 (간접 기여) → 유기적 유입 순서로 정의해주는 게 좋습니다.
GA에는 정말 다양한 기능이 있기 때문에
직접 만져보고 자주 들여다봐줘야 익숙해지실 거예요!
모두 화이팅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