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노아노마드입니다.
다들 잘 지내시고 계신가요?
저번 달 10월 중순 새로운 모습으로 구글애널리틱스가 나타났습니다 !
그래서 오늘은 구글 애널리틱스에 대해서 다뤄보고자 합니다
다들 준비 되셨겠지요~ ? :)
Google Analytics (GA)

구글 애널리틱스 즉, GA는 일전에 말씀드렸듯이 웹사이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고객 행동 및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툴입니다.
고객행동의 예로 페이지뷰, 이탈, 유입 수, 세션 수, 유입경로 등 마케팅 개선을 위한 방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마케터에게 아주 유용한 툴로
모든 마케팅엔 필수요소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GA를 사용하기에 앞서 여러분들은 로그분석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로그분석이란 쉽게 말해 사람들의 특정 행동들(데이터)을 분석하는 것을 말합니다.
로그분석의 이해

1. OKR과 KPI의 이해
OKR : Objectives and Key Results
= 기업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표로 핵심 결과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KPI : Key Performance Index(indicator)
= 핵심성과지표로 기업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즉, 앞선 OKR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관리해야하는 성과지표를 뜻합니다.
구글애널리틱스 분석에 앞서 OKR과 KPI를 올바르게 정의, 설정한 후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즉 사업 목표와 연계된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지 않는다면 이는 유용한 인사이트가 될 수 없는 것이죠.
이 때, KPI는 꼭 1가지 일 필요없이 여러 KPI가 모여 한 가지의 OKR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전환의 이해
전환이란 웹 사이트 내 방문자들의 유의미한 행동을 뜻하며, 성과를 측정하고자 하는 행동을 지칭합니다.
이는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Macro Conversion (매크로 전환) : 홈페이지 내 최종 전환
Micro Conversion (마이크로 전환) : 매크로 전환을 이끌어내기 위한 보조 전환
으로 나뉩니다.

여러 개의 마이크로 전환이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매크로 전환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렇다고
매크로 전환을 가장 중요하게만 여기고 마이크로 전환을 등한시 하게 되면 안 됩니다. 최종 전환이 일어나기 전에
항상 다양한 보조전환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마이크로 전환을 파악, 분석해야만 더 많은 매크로 전환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유입경로 별 정확한 성과파악이 가능해야 하며, OKR을 만들어 내기 위한 최적의 KPI Logic을 만들어 내는 것이 마케터들의 마케팅 기획의 목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작동원리

구글의 데이터는 *쿠키ID 기반으로 수집되며,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고객들의 다양한 행동과 정보들이 모두 데이터로 수집되어
구글 애널리틱스 내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쿠키ID는 브라우저 별로 다르기 때문에 한 고객이 다양한 브라우저를 사용할 경우
애널리틱스 내에서는 이를 모두 다른 사용자로 인식하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또한 시크릿모드나 쿠키 삭제 등의 경우 해당 정보를 트래킹 하지 못하거나 지워지는 한계가 있습니다.
*쿠키 ID: 사이트에 접속할 때 자동적으로 만들어지는 임시 파일로 이용자가 본 내용, 상품 구매 내역, 신용카드 번호, 아이디(ID), 비밀번호, IP 주소 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일종의 정보파일
구글 애널리틱스 가입 및 설치
1. 가입 후 GTM 연동
*구글 애널리틱스 주소 https://analytics.google.com
위 링크를 통해 애널리틱스 가입 후 해당 사진을 참고하여 추적코드를 GTM에 연동해줍니다.
GTM에 연동 후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본인 솔루션에 맞게 설치를 진행해주시면됩니다 :)
https://blog.naver.com/noahnomady/222091298598
2. 정상 발동 확인 방법
1) 본인 웹사이트에 접속 후 GA 카테고리 내의 실시간 레포트 확인을 통해 활성 사용자 수가 올라가는지 확인 !

2) Tag Assistant를 활용하여 확인 !
( 이게 뭔지 모르겠다 ! 그렇다면 👉 https://blog.naver.com/noahnomady/222097939753 )
구글 애널리틱스 UI 살펴보기
1. 보고서 기본 구성
2. 지표 용어
먼저 좌측의 측정기준은 데이터의 속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위쪽의 측정항목은 정량적인 측정요소(수치과 가능한 데이터)를 뜻합니다.
측정항목 중 '세션'이라는 항목이 다소 생소할 수 있습니다. '세션'은 방문의 개념으로 이해해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방문자가 홈페이지 내에 접속하여 메인페이지 → 카테고리 페이지 → 상품상세페이지 순서로 접속한 후 이탈하게 된다면
이는 한 번의 세션이 발생했음을 뜻합니다. 즉, 이탈하기전의 방문경로 모든 것을 하나의 세션으로 이해해주면 될 것 같습니다.
3. 보고서 카테고리
1) 실시간 보고서 : 현재 웹 사이트에 접속해 있는 방문자의 대략적인 정보를 보여주는 보고서
2) 잠재고객 보고서 : 방문자의 인구통계, 행동, 특징 등과 같은 방문자 정보에 관한 보고서
3) 획득보고서 : 방문자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 유입되었는지 파악하는 보고서
4) 행동보고서 : 방문자가 웹 사이트 내에서 어떤 행동을 했는지 파악하는 보고서
5) 전환보고서 : 방문자가 웹 사이트 내에서 우리가 지정한 목표를 달성했는지 파악하는 보고서
다음 시간에는 좀 더 보고서 카테고리 별로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해요 !
덤으로 이번에 업데이트 된 GA4에 대한 내용까지 함께 공부해봐요 :)
오늘 하루도 고생하셨습니다!
안녕하세요!
노아노마드입니다.
다들 잘 지내시고 계신가요?
저번 달 10월 중순 새로운 모습으로 구글애널리틱스가 나타났습니다 !
그래서 오늘은 구글 애널리틱스에 대해서 다뤄보고자 합니다
다들 준비 되셨겠지요~ ? :)
구글 애널리틱스 즉, GA는 일전에 말씀드렸듯이 웹사이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고객 행동 및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툴입니다.
고객행동의 예로 페이지뷰, 이탈, 유입 수, 세션 수, 유입경로 등 마케팅 개선을 위한 방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마케터에게 아주 유용한 툴로
모든 마케팅엔 필수요소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GA를 사용하기에 앞서 여러분들은 로그분석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로그분석이란 쉽게 말해 사람들의 특정 행동들(데이터)을 분석하는 것을 말합니다.
1. OKR과 KPI의 이해
OKR : Objectives and Key Results
= 기업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표로 핵심 결과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KPI : Key Performance Index(indicator)
= 핵심성과지표로 기업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즉, 앞선 OKR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관리해야하는 성과지표를 뜻합니다.
구글애널리틱스 분석에 앞서 OKR과 KPI를 올바르게 정의, 설정한 후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즉 사업 목표와 연계된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지 않는다면 이는 유용한 인사이트가 될 수 없는 것이죠.
이 때, KPI는 꼭 1가지 일 필요없이 여러 KPI가 모여 한 가지의 OKR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전환의 이해
전환이란 웹 사이트 내 방문자들의 유의미한 행동을 뜻하며, 성과를 측정하고자 하는 행동을 지칭합니다.
이는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Macro Conversion (매크로 전환) : 홈페이지 내 최종 전환
Micro Conversion (마이크로 전환) : 매크로 전환을 이끌어내기 위한 보조 전환
으로 나뉩니다.
여러 개의 마이크로 전환이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매크로 전환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렇다고
매크로 전환을 가장 중요하게만 여기고 마이크로 전환을 등한시 하게 되면 안 됩니다. 최종 전환이 일어나기 전에
항상 다양한 보조전환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마이크로 전환을 파악, 분석해야만 더 많은 매크로 전환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유입경로 별 정확한 성과파악이 가능해야 하며, OKR을 만들어 내기 위한 최적의 KPI Logic을 만들어 내는 것이 마케터들의 마케팅 기획의 목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글의 데이터는 *쿠키ID 기반으로 수집되며,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고객들의 다양한 행동과 정보들이 모두 데이터로 수집되어
구글 애널리틱스 내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쿠키ID는 브라우저 별로 다르기 때문에 한 고객이 다양한 브라우저를 사용할 경우
애널리틱스 내에서는 이를 모두 다른 사용자로 인식하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또한 시크릿모드나 쿠키 삭제 등의 경우 해당 정보를 트래킹 하지 못하거나 지워지는 한계가 있습니다.
*쿠키 ID: 사이트에 접속할 때 자동적으로 만들어지는 임시 파일로 이용자가 본 내용, 상품 구매 내역, 신용카드 번호, 아이디(ID), 비밀번호, IP 주소 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일종의 정보파일
1. 가입 후 GTM 연동
*구글 애널리틱스 주소 https://analytics.google.com
위 링크를 통해 애널리틱스 가입 후 해당 사진을 참고하여 추적코드를 GTM에 연동해줍니다.
GTM에 연동 후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본인 솔루션에 맞게 설치를 진행해주시면됩니다 :)
https://blog.naver.com/noahnomady/222091298598
2. 정상 발동 확인 방법
1) 본인 웹사이트에 접속 후 GA 카테고리 내의 실시간 레포트 확인을 통해 활성 사용자 수가 올라가는지 확인 !
2) Tag Assistant를 활용하여 확인 !
( 이게 뭔지 모르겠다 ! 그렇다면 👉 https://blog.naver.com/noahnomady/222097939753 )
1. 보고서 기본 구성
2. 지표 용어
먼저 좌측의 측정기준은 데이터의 속성에 대해서 보여주고, 위쪽의 측정항목은 정량적인 측정요소(수치과 가능한 데이터)를 뜻합니다.
측정항목 중 '세션'이라는 항목이 다소 생소할 수 있습니다. '세션'은 방문의 개념으로 이해해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방문자가 홈페이지 내에 접속하여 메인페이지 → 카테고리 페이지 → 상품상세페이지 순서로 접속한 후 이탈하게 된다면
이는 한 번의 세션이 발생했음을 뜻합니다. 즉, 이탈하기전의 방문경로 모든 것을 하나의 세션으로 이해해주면 될 것 같습니다.
3. 보고서 카테고리
1) 실시간 보고서 : 현재 웹 사이트에 접속해 있는 방문자의 대략적인 정보를 보여주는 보고서
2) 잠재고객 보고서 : 방문자의 인구통계, 행동, 특징 등과 같은 방문자 정보에 관한 보고서
3) 획득보고서 : 방문자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 유입되었는지 파악하는 보고서
4) 행동보고서 : 방문자가 웹 사이트 내에서 어떤 행동을 했는지 파악하는 보고서
5) 전환보고서 : 방문자가 웹 사이트 내에서 우리가 지정한 목표를 달성했는지 파악하는 보고서
다음 시간에는 좀 더 보고서 카테고리 별로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해요 !
덤으로 이번에 업데이트 된 GA4에 대한 내용까지 함께 공부해봐요 :)
오늘 하루도 고생하셨습니다!